플랫폼 활용 지원
구축개요
공용 언더바디 및 섀시 플랫폼 개방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이 소량 다품종 전기구동 차량 설계 지원 다양한 차종을 개발할 수 있는 설계표준 제시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, 다양한 차종을 빠르게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 중소·중견기업의 공용 부품 개발 지원을 언더바디 및 섀시 플랫폼의 원스톱 활용 지원체계 구축
과제추진내용
기업수요 맞춤형 공용 플랫폼 활용 검토
- 사용자 중심형 신규차량 모델 설계 지원을 위한 기업의 수요 분석
- 기업의 개발 예정 차량의 특성, 크기, 용도 등을 분석하여 주관기관 보유 공용 플랫폼의 활용가능성 평가
- 공공성 및 특수목적을 갖는 차량*을 설계할 수 있도록 공용 플랫폼 활용 검토
- 농업용, 무인배송, 소형트럭, 수거차 등
차종 및 크기에 따른 공용부품 적용 설계
- 전기자동차에 필수적인 구동모터, 인버터, 배터리, 클러스터, 섀시부품 등의 공용부품이 확대 적용될 수 있도록 언더바디 및 섀시 플랫폼의 호환성 설계 활용 지원
- 구동모듈 및 배터리 종류, 배터리 용량, 섀시 부품 등의 공용부품의 규격 및 종류 변화 등을 고려한 공용 플랫폼의 설계 변경 지원
차종별 언더바디 및 섀시 플랫폼 설계
- 공용 언더바디 및 섀시 플랫폼과 개별 기업의 어퍼바디를 결합하여 용도별, 크기별 특수목적의 EV 설계 지원
- 종방향의 휠베이스의 길이뿐만 아니라 횡방향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는 언더바디 플랫폼으로 다양한 길이와 폭 변경이 가능한 EV 플랫폼 설계 기술지원
- 개별 기업의 어퍼바디를 결합하여 용도별, 거리별, 크기별 다양한 목적의 EV 시작차 설계 지원
차량 설계 검증을 위한 해석 기반 성능평가
- 차량의 구조성능 요구조건을 고려한 정적 및 동적 강성 해석 지원
- 개발 차량의 사용 환경 등을 고려한 진동해석 및 내구해석 지원
- 차량안전성 평가를 위한 충돌해석 지원
- 해석결과를 기반으로 차체 구조 설계 최적화 지원